1


울림이 개월수와 태어난 날짜를 세어 본게 참 오랜만이다.

그만큼 울림이와 함께 한 시간이 오래 됐다는 의미도 있고,

그만큼 시간이 빨리 간다는 의미도 있고,

그만큼 울림이에게 예전 만큼의 신경을 써주지 못 했다는 의미도 있는 것 같다.


블로그도 처음 만큼 신경쓰고 있지 못하는 걸 보면 

내가 요즘 울림이가 자라나는 것에 전 만큼 관심을 가지지 못했던 것 같아 반성 중.









2


모쪼록, 드디어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 완주로 컴백한 울림이네 네 식구!

우리는 이제야 슬슬 자리를 잡을 준비가 되어가고 있는 듯 하다.

아직 집도 엉망이고 내 몸도 모두 회복 되지는 못 했지만, 이제야 하나 둘 무언가 해 나갈 힘이 생기는 것 같다.


작은 꼬박이가 태어난지 이제 곧 한 달이 되어간다.

조산원에서 완주 집으로 돌아온지 3주 정도 됐나.

그동안 나는 꼬박이 챙기고 내 몸 챙기느라 여유가 없어 울림이 마음을 헤아려 줄 틈이 없었다.

그러는 사이 울림이가 알게 모르게 힘들었던게 쌓였었는지 완주에 와서

기침 감기도 심해지고, 잘 가리던 오줌도 계속 바지에 누고, 별 것 아닌 일에 화내고 짜증내고 떼를 쓰기 시작했다.







기침이 심해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오셨을 때 공동육아 사람들에게 소개 받은 한의원에 다녀 오기도 했다.

그때 '울림이같이 순하고 착한 심성을 가진 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힘든 일이 생기면 겉으로 잘 표현 하지 않는 대신 속으로(아픈 것)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.'는 한의사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펑펑 울었다.


(조금 과장 일지도 모르고 출산 후라 감정이 격해 져서 그런 걸 수도 있지만) 

이 어린 것이 혼자 속알이 했을 울림이를 생각하니 안쓰럽기도 하고

힘들었을 울림이 마음을 헤아려 주지 못해 너무 미안했다.


할아버지가 사다주신 체조하는 장난감 받고 신났음



자기전 책 읽기



책 사이로 삐져 나온 옥수수 발가락


삼삼오오에서 레몬차 먹고 남은 레몬 청 먹는 중ㅋㅋ




샤워 후 셀카 한방ㅋ


이 남자가 편하게 자는 법


요맘때 울림이 사진은 웃고 있는 사진도 왠지 짠하다ㅜ,ㅜ






3


그래도 우리 울림이 언제까지 이럴까,

과연 옛날에 울림이로 돌아 오기는 하는 걸까? 

고민하고 걱정하고 눈물 흘리는 사이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 어여쁜 울림이가 되었다.


평소 울림이 답지 않게 너무나 시크해 져서 한 번 웃어 주는 것만으로도 너무나 고마웠던 날들이 불과 3-4일 전 이었다니.

뭐든 지날 것 같지 않던 시간들도 그저 묵묵히 지켜 가다 보면 다 지나 가는구나.

다시 한 번 느꼈다.


얼마 전 냉이 삼촌에게 선물 받은 자동차 내복! 멀리서 택배로 자기 선물이 오니 너무 기뻐 하던 울림이:-)

(그 후로 택배 아저씨가 올 때마다 가장 먼저 달려가 문 열어 준다는ㅋㅋㅋ)







오랜만에 깐 울림!(울림아 제발 머리 좀 자르자ㅠ,ㅠ)




요즘은 다시 잘 웃고 쫑알쫑알 잘 떠들고 잘 먹고 잘 싸는 울림이:-)

울림이가 잘 웃으니 즐겁게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 함께 하려 노력하게 되고

맛나게 잘 먹는 울림이를 보면서 매일 더 맛있는 음식을 해주고 싶은 마음이 불끈불끈.


그래서 어제 오늘 저녘 시간 마다 울림이랑 같이 요리를 했다.

어제는 시금치 프리타타, 오늘은 메추리알 장조림을 함께 만들어 먹었다.

이제는 재법 시키는 것만 잘 해서 같이 할만 하다는!

특히 어제 프리타타 만들면서 계란 푸는 걸 잘 해내서 놀라기도 하고 너무 대견했다:-)


간만에 물감놀이!









끝!




ps. 


요즘 울림이가  자주 하는 말

- "갯, 차나~(괜찮아)"

- 무언가 먹다가 내가 "이제 다음에 먹자~" 하면 "나중에 이모 삼촌 오면 먹자~"

- 무언가 먹을 때 "몇 개 먹을래?"라고 물어 보면 어김없이 "두 개!"라고 대답한다. (가끔 내가 "세 개 줄까?"라고 해도 "아니, 두 개!")

- 아.. 울림이 재미난 말이 많은데 기록하지 않으니 다 잊어 버린다ㅜ,ㅠ 앞으론 잘 적어 둬야지...


즐겨 먹는 간식거리

- 유과, 감말랭이, 잣, (직접 만들어 주는!)딸기 쥬스, 딸기 요뽀띠(요플레)


 





: